메뉴 건너뛰기

메뉴 건너뛰기

자유게시판

조회 수 6003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숲의 모순, 보전과 활용


  숲에 대한 하나의 생각이 있다. 그것은 사람의 손으로부터 숲을 온전하게 지키자는 생각이다. 지구별의 대부분을 사람들이 차지하고 콘크리트와 아스팔트로 뒤덮은 현실에서, 숲이라는 공간만이라도 인간이 아닌 다른 생물들을 위한 삶의 공간으로 남기자는 것이다. 원칙적으로 숲 속에 있는 나뭇가지 하나, 돌멩이 하나에도 사람의 손을 대지 말자는 것이고 보니, 숲을 찾은 사람들이 앉아 쉴 만한 시설이나 인공적인 산책로를 만드는 것에 반대하기도 한다. 한때 온 나라를 뒤덮었던 숲이 사라진 것도 이런저런 인간의 편의를 위해서였으니, 지금 인간의 편리와 이익을 위해 숲에 인위적인 변화를 준다면 그나마 남아 있는 숲을 훼손하게 될 것이 아닌가? 이런 의견을 가장 충실히 따르자면 사람은 숲에 들어가지 않는 것이 옳을지도 모르겠다.


  물론 이와는 전혀 다른 또 하나의 생각이 있다. 숲을 인간의 이익에 맞게 적극적으로 활용하자는 생각이다. 숲은 자연이 인간을 위해 남겨둔 마지막 선물이다. 이전 시대에 숲은 개발의 대상이었지만, 이제 숲은 자연의 치유력을 통해 새로운 에너지를 주는 마지막 휴식 공간이다. 결국 숲을 보전하는 것도 사람을 위한 것이고, 보다 많은 사람들이 숲의 소중함을 직접 느낄 수 있어야 숲을 지키고 가꾸는데 사회적인 비용을 지출 할 수 있다. 이렇게 적극적인 활용을 모색하다 보면 결국 많은 사람들이 이 숲을 찾게 될 것이고, 숲은 본래의 모습을 조금씩 잃어갈 수밖에 없을지도 모른다.


  이렇게 서로 다른 숲에 대한 생각은 전형적인 모순상황인 것으로 보인다. 숲을 지킨다는 것에 가치를 두면 아무래도 활용도는 떨어질 것이고, 인간들이 숲에서 어떤 혜택을 얻으려 애쓸수록 숲은 더 훼손될 것이다. 철학적으로 보면 똑같이 생태적인 보전을 고민하더라도 지구별의 모든 식구들을 중심으로 볼 것인가, 아니면 그 식구들 중에서도 우리 자신인 인간을 중심으로 볼 것인가의 차이일 수도 있다. 또 다르게 보자면 보다 원칙적인 생태주의와 실용적인 생태주의를 두 의견을 이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산에 사람들이 다니기 시작하면 풀과 나무사이로 등산로가 생기고, 흙이 노출된 등산로가 빗물에 쓸려 파이기 시작한다. 그렇게 파이기 시작한 땅에 물길이 한번 나면 물이 모여 흐르면서 심각하게 땅이 파이고 숲이 훼손되는 일도 더러 있다. 그 모든 변화가 사람들이 밟고 다녔을 뿐인 길에서 출발했다고 생각하면 사람이란 존재는 좋은 의미에서건 나쁜 의미에서건 참 대단하다는 생각도 해 보게 된다. 이렇게 사람들이 찾으면서 생기는 산림 훼손에 대처하는 방식에서 앞의 두 가지 생각은 또 다시 극명하게 대립한다. 사람들이 숲을 찾는 것을 최소화하자는 의견과 많은 사람들이 편하게 오고 가더라도 숲에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나무 테크와 같은 구조물을 갖추자는 의견이 바로 그것이다. 그런 구조물은 과연 숲을 해치는 문명의 창일까? 아니면 숲을 활용하면서도 피해를 막아주는 방패일까? 숲의 보전과 활용이라는 모순 속에서 미래의 가치를 훼손하지 않도록 적절하게 조화를 이루는 선은 과연 어디일까?

                    
                                                            박범준 제주 바람도서관장       

                                                            2009년 4월 15일 〈경향신문〉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 [등산 상식] 히말라야 2009.04.01 21531
34 목표를 설정하고 달성하려면 히말라야 2009.04.02 21476
33 『행복의 달인』 속 7인의 멘토 히말라야 2009.04.02 21465
32 〈경향신문〉김지사, 김기사 히말라야 2009.04.03 21450
31 〈동아일보〉중간보급 없이 도달 93년동안 29명뿐 히말라야 2009.04.03 21605
30 역사 왜곡의 상징, 몽고정 히말라야 2009.04.03 21533
29 [중앙일보]대한제국에 등장한 러시아 군인들 file 히말라야 2009.04.07 49274
28 ♧책과 인생- ‘쿠텐베르크의 조선’과 독도 히말라야 2009.04.10 21239
27 〈한국일보〉- 감자탕 히말라야 2009.04.10 21454
26 〈경향신문〉‘K2 등반’ 한국인 3명 눈사태로 조난 히말라야 2009.04.13 21485
25 〈경향신문〉말의 독 히말라야 2009.04.14 67401
24 〈경향신문〉-세상과 따뜻한 소통 마음의 평안 남기다 히말라야 2009.04.16 22274
23 〈중앙일보〉 산골에선 전봇대가 생명줄 file 히말라야 2009.05.04 30393
22 오체투지(五體投地)란? 히말라야 2009.05.04 27168
21 독도법협회 설립 야사 히말라야 2009.05.07 42824
20 진정성이 어디에 있는지! 히말라야 2009.05.13 54430
19 내가 가장 두려워하는 것은? 1 히말라야 2009.05.14 38451
18 법인 2년 동안에 얻은 교훈 히말라야 2009.05.20 40362
17 강사자격증 탄생과 우리의 과제 히말라야 2009.05.20 28602
» 〈경향신문〉숲의 모순, 보전과 활용 히말라야 2009.05.22 6003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